"공모주 균등·비례 배정 차이점 정리"
공모주 청약에서는 균등 배정과 비례 배정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주식이 배정됩니다. 이 두 가지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면, 보다 효과적으로 공모주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.
1. 균등 배정이란?
균등 배정은 모든 청약 신청자에게 최소 1주 이상의 공모주를 배정하는 방식입니다.
- 최소 청약 수량(보통 10주) 이상을 신청한 모든 투자자가 균등한 기회를 가짐
- 증거금이 많지 않아도 1주 이상 받을 가능성이 있음
- 경쟁률이 높을 경우 추첨 방식으로 배정됨
📌 균등 배정 예제
✅ 공모주 최소 청약 수량: 10주
✅ 공모가: 20,000원
✅ 청약 경쟁률: 20:1 (10명 중 1명만 1주 배정)
✅ 증거금 100,000원(50%)만 있으면 균등 배정 기회 확보
💡 균등 배정 전략:
- 소액 투자자도 참여 가능
- 최소 청약 수량만큼 신청하면 추첨으로 1주 받을 가능성
- 여러 증권사를 활용하면 당첨 확률 증가
2. 비례 배정이란?
비례 배정은 투자자가 넣은 증거금 비율에 따라 주식을 배정하는 방식입니다.
- 증거금을 많이 넣을수록 더 많은 공모주를 받을 가능성이 커짐
- 대형 청약자는 유리, 소액 청약자는 불리
- 공모주 배정을 많이 받기 위해서는 경쟁률을 고려한 자금 투입이 필요
📌 비례 배정 예제
✅ 공모주 청약 경쟁률: 10:1
✅ 공모가: 20,000원
✅ A 투자자: 100주 청약(1,000,000원 증거금)
✅ B 투자자: 500주 청약(5,000,000원 증거금)
⚡ 결과:
- B 투자자가 A보다 5배 많은 증거금을 넣었기 때문에 비례 배정에서 더 많은 주식을 받을 확률 높음
💡 비례 배정 전략:
- 자금이 많을수록 유리
- 공모주 경쟁률이 낮은 종목을 공략하면 비례 배정으로 더 많은 주식을 받을 가능성
- 여러 증권사에 분산 청약하여 배정 기회 극대화
3. 균등 배정 vs 비례 배정 비교

📌 결론: 균등·비례 배정 전략 요약
✅ 소액 투자자 → 균등 배정 활용 (최소 청약 수량만 넣고 여러 증권사 활용)
✅ 대형 투자자 → 비례 배정 활용 (경쟁률 낮은 공모주 찾아 증거금 집중)
✅ 복합 전략 → 균등 배정으로 최소 배정 확보 후, 추가 자금으로 비례 배정 참여
공모주 청약에서는 균등 배정과 비례 배정을 적절히 활용하여 최적의 배정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!
_______________________
α Q&A
Q. 균등배정과 비례배정 두 방식은 공모 물량의 50:50으로 혼합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며, 각각의 장단점과 실제 배정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.
A. 공모주 청약 시 균등 배정과 비례 배정은 일반 청약자에게 배정된 물량(통상 공모 물량의 20~30%) 내에서 50:50 비율로 나뉘어 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두 방식의 장단점과 실제 배정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1. 균등 배정 (50%)
✅ 모든 청약자에게 최소 1주 이상의 공모주를 배정하는 방식
✅ 최소 청약 수량(보통 10주) 이상을 청약한 투자자는 무조건 균등 배정 대상
✅ 경쟁률이 높으면 추첨 방식으로 결정
✔ 균등 배정 예제
- 공모주 물량: 10,000주
- 균등 배정 몫: 5,000주
- 청약 신청자 수: 5,000명 → 각 1주씩 배정
- 만약 10,000명이 신청했다면? → 추첨으로 50%만 1주씩 배정
💡 핵심 포인트
- 소액 투자자도 최소 1주 받을 가능성 있음
- 증거금이 적어도 참여 가능 → 소액 투자자에게 유리
- 경쟁률이 높을 경우 1주도 못 받을 가능성 존재
📌 유의할 점:
- 청약 최소 수량(보통 10주) 이상 신청해야 배정 대상 포함
- 여러 증권사를 활용하면 균등 배정 당첨 확률 증가
2. 비례 배정 (50%)
✅ 투자자가 넣은 증거금 비율에 따라 공모주를 배정하는 방식
✅ 더 많은 금액을 청약할수록 더 많은 주식 배정 가능
✅ 대규모 자금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유리
✔ 비례 배정 예제
- 공모주 물량: 10,000주
- 비례 배정 몫: 5,000주
- A 투자자: 1,000만 원 청약 → 전체 증거금의 10%
- B 투자자: 500만 원 청약 → 전체 증거금의 5%
⚡ 결과:
- A 투자자는 전체 비례 배정 물량(5,000주) 중 10%인 500주 배정
- B 투자자는 5%인 250주 배정
💡 핵심 포인트
- 증거금이 많을수록 유리
- 균등 배정과 달리 공모주를 많이 받을 가능성이 있음
📌 유의할 점:
- 증거금이 부족하면 비례 배정에서 불리
- 공모주 경쟁률을 분석하여 최적의 청약 금액을 결정해야 함
3. 균등·비례 배정 혼합 적용 시 유의할 점
✅ 공모 물량의 50%는 균등 배정, 50%는 비례 배정으로 배정되는 경우가 많음
✅ 균등 배정만으로는 1주 이상 받기 어려울 수 있음
✅ 소액 투자자는 균등 배정을, 대형 투자자는 비례 배정을 적극 활용
📌 유의할 점
1️⃣ 균등 배정에서는 최소 청약 수량 충족 필수 → 최소 10주 청약해야 배정 대상 포함
2️⃣ 비례 배정에서는 경쟁률을 고려한 증거금 투입 필요
3️⃣ 여러 증권사에 분산 청약하면 당첨 확률 증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