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"2025 증여세 비과세 한도 알아보기"
;-)
2025. 3. 19. 17:41
반응형
1. 기본 증여세 비과세 한도
- 직계존비속(부모 → 자녀) 간 증여:
- 1인당 10년간 최대 5천만 원까지 비과세
- 미성년자에게는 2천만 원까지 비과세
- 배우자 간 증여:
- 1인당 10억 원까지 비과세
- 기타 친족(형제, 자매 등) 간 증여:
- 1인당 1천만 원까지 비과세
2. 혼수비용 및 결혼자금
혼수비용이나 결혼자금으로 증여받는 금액은 별도의 비과세 한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결혼 자금의 경우 5천만 원까지 비과세될 수 있으며, 이를 초과할 경우 증여세가 부과됩니다.
3. 증여세 신고
-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면 증여세 신고 의무가 발생합니다. 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나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4. 정리
- 부모님으로부터 10년간 5천만 원까지 비과세
- 혼수비용이나 결혼 자금은 별도의 비과세 한도가 적용될 수 있음
이러한 한도를 고려하여 증여세를 적절히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최근 10년간 받은 금액이 있다면, 이를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좋습니다.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α Q&A
Q.이제까지 용돈 명목으로 받았던 돈들도 다 포함되나요 아니면 미신고로 포함이 안될까요?
A. 일반적으로 생활비나 용돈으로 받은 돈은 직접적인 증여로 보기 어렵습니다. 하지만, 생활비로 보기 어려운 큰 금액(예: 수백만 원 이상)이 지속적으로 지급되었다면 증여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