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"혈액검사 처리 과정 완벽 정리! 검사 방법부터 결과 분석까지"
;-)
2025. 3. 11. 17:49
반응형
혈액검사는 채혈 → 검체 처리 → 분석 → 결과 보고의 과정으로 진행됩니다.
1. 채혈 (Blood Collection)
✅ 채혈 부위 선택
- 일반적으로 **팔 정맥(팔꿈치 안쪽)**에서 채혈
- 필요에 따라 손등 정맥, 손가락 끝, 귀불, 발뒤꿈치(신생아)에서 채혈
✅ 채혈 과정
- 손 소독 후 장갑 착용
- 투어니켓(압박대) 착용 → 정맥을 부풀게 함
- 바늘을 삽입하여 혈액 채취
- 필요한 용기에 혈액을 담음 (시험관 별 용도 다름)
- 채혈 후 압박하여 지혈
✅ 채혈 시 주의점
- 공복 혈당 검사, 콜레스테롤 검사 등은 **공복 상태(8~12시간 금식)**에서 진행
- 특정 약물 복용 여부에 따라 검사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음
2. 검체 처리 (Specimen Processing)
✅ 시험관 별로 적절한 처리 필요
- 항응고제(EDTA, 헤파린 등) 포함 여부에 따라 분류
- 응고된 혈액(혈청)과 응고되지 않은 혈액(혈장)으로 나뉨
✅ 원심분리 (Centrifugation)
- 혈청/혈장 검사 시 **원심분리기(centrifuge)**를 사용해 혈액을 분리
- 일반적으로 3,000rpm에서 10~15분간 원심분리
✅ 보관 및 운송
- 냉장(2~8°C) 보관이 필요한 검사 있음 (예: 인슐린, 호르몬 검사)
- 일부 검사는 즉시 검사해야 함 (예: 혈액가스 검사)
3. 분석 (Laboratory Analysis)
✅ 자동 분석기 사용
- 대부분의 혈액검사는 자동화된 검사 장비를 이용해 진행
- CBC(혈구 수치)는 혈액 분석기, 생화학 검사는 생화학 분석기 사용
✅ 검사 종류별 분석 방법
- 혈구 검사 (CBC) → 혈액 분석기로 자동 측정
- 생화학 검사 → 색 반응(광도계) 이용
- 호르몬/면역 검사 → 면역 분석법 (ELISA, RIA 등)
- 유전자 검사 → PCR(중합효소 연쇄반응) 사용
4. 결과 확인 및 보고 (Result Interpretation & Reporting)
✅ 결과 확인 및 이상 여부 판독
- 검사 장비에서 수치를 자동 출력하지만, 이상 수치는 전문가(임상병리사, 의사)가 재확인
-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재검사 또는 추가 검사 요청 가능
✅ 결과 보고
- 병원 전산 시스템을 통해 의사에게 전달
- 일반 혈액검사(CBC, 생화학 검사) → 보통 1일 이내 결과 확인 가능
- 정밀검사(호르몬, 면역, 유전자 검사 등) → 수일~수주 소요
💡 정리하자면!
1️⃣ 채혈 → 정맥혈 채취
2️⃣ 검체 처리 → 시험관별 적절한 처리 및 원심분리
3️⃣ 분석 → 자동 분석기 사용
4️⃣ 결과 보고 → 의사가 판독 후 진료에 활용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