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서울시가 노후 저층 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과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추진 중인 '모아타운' 및 '모아주택' 사업의 일환으로, 서초구 방배동, 강서구 공항동, 동작구 상도동 일대에 총 3,446가구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입니다. 이들 지역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지역으로, 소규모 정비 모델인 모아타운 및 모아주택 사업을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자 합니다.
사업 개요
- 총 공급 가구 수: 3,446가구 (임대주택 534가구 포함)
- 사업 유형: 모아타운 및 모아주택
- 사업 대상지:
- 서초구 방배동 1434번지 일대
- 강서구 공항동 55-327번지 일대
- 동작구 상도동 242번지 일대
지역별 사업 내용
1. 서초구 방배동 1434번지 일대
- 사업 유형: 모아주택 (가로주택정비사업)
- 공급 규모: 70가구 (임대주택 14가구 포함)
- 건축 계획: 지하 3층~지상 17층, 1개 동
- 특징:
- 용적률 완화 (250% → 300%) 및 대지 안의 공지 완화 적용
-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2m 보도 설치
- 가로변에 연도형 근린생활시설 배치로 가로 활성화 유도
- 이수역(4·7호선) 인근으로 교통이 용이
2. 강서구 공항동 55-327번지 일대
- 사업 유형: 모아타운
- 공급 규모: 1,878가구 (임대주택 258가구 포함)
- 특징:
- 과거 공항 이주단지 조성지역으로, '공항시설법'에 따른 높이 제한 등으로 재개발이 어려웠던 지역
- 용도지역 상향 (제2종 일반주거지역 → 제3종 일반주거지역)
- 송정로4길 등 주변 도로 확장 및 순환형 교통체계 구축
- 상·하부 공원 및 주차장 설치, 경로당·어린이집 등 생활밀착형 복지시설 배치
3. 동작구 상도동 242번지 일대
- 사업 유형: 모아타운
- 공급 규모: 1,498가구 (임대주택 262가구 포함)
- 특징:
- 노후도 69.5%에 달하는 노후·불량 건축물 밀집 지역
- 용도지역 상향 (제2종 일반주거지역 → 제3종 일반주거지역)
- 성대로, 성대로1길 등 도로 확장 및 보행환경 개선
- 공공공지 2개소 신설로 휴가 및 여가공간 제공
- 성대전통시장 등과 연계한 가로 활성화 유도
모아타운·모아주택이란?
- 모아타운: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10만㎡ 이내의 노후 저층 주거지를 하나로 묶어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소규모 정비 모델
- 모아주택: 모아타운 내에서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 단위로 공동 개발하는 사업
이번 사업을 통해 서울시는 노후 저층 주거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, 주택 공급을 확대하여 주거 안정을 도모할 계획입니다.
반응형